이번 포스팅은 주식에서 기초인 차트 보는 방법에 대해 조금 소개해보겠습니다.
처음 주식 차트를 보기 위해서 키움증권 HTS 영웅문에서 0600번 키움종합차트를 켜고 확인해보면 빨간색, 파란색 봉 여러 개와 몇 가지 선들로 이루어져 있어 다소 복잡한 것이 사실입니다.
우선 키움종합차트 창에서 세로는 가격을 나타내고 있고, 가로는 날짜/기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
차트 종류
상단에는 종목코드와 종목이름란이 있습니다. 그리고 일 / 주 / 월 / 년 / 분 / 초 / 틱으로 차트가 나뉩니다.
일 / 주 / 월 / 년 차트는 전체적으로 큰 흐름을 볼 때 주로 쓰입니다. 보통은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일 차트를 가장 주요하게 보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주가가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가 확인하거나 과거 고점, 저점들을 보고 지지와 저항을 보고 들어가기 위함입니다.
분 / 초 / 틱 차트의 경우는 옆에 숫자가 따로 있는데 1분 봉 차트, 3분 봉 차트, 5분 봉 차트 등 본인의 흐름에 맞게 분 차트를 이용하거나 좀 더 빠른 흐름을 세밀하게 보기 위해서 초 단위의 차트와 틱 단위의 차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
틱 차트는 거래마다 차트로 나타나기 때문에 잘 사용하진 않으나 스캘핑을 하는 사람의 경우 간혹 참고할 수 있는 차트입니다.
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차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며 본인의 스타일에 맞도록 차트를 세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차트는 시간이 짧은 차트일수록 단타 매매에 진입 시 적합하고 긴 기간의 차트일수록 스윙, 장기투자 매매에 진입 시 도움이 됩니다.
예를 들어 차트는 분, 일, 월 차트등 모두 보는 것이 좋지만 단타 매매를 하는데 년 차트보다는 일 차트 또는 분 차트를 참고해서 진입 시점을 찾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. 스윙, 장기투자의 경우 짧은 기간 보는 것이 아니라 주가가 충분히 상승하거나 너무 하락하여 손절하기까지 충분히 기다리는 매매로 주가 변동이 잦은 분 차트보다는 일봉이 조금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. 물론 진입 시점은 분봉의 흐름 수급 재료 모두 생각해서 들어가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.
보조지표
다음은 보조지표로 주식에는 여러 보조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주로 사용하는 보조지표들은 이동평균선은 보통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추가로 Envelope (엔벨로프), Vollinger Band(볼린저 밴드) 같은 지표를 사용하는 투자자들도 많습니다. 보조지표는 매매 시 참고 정도만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. 대부분의 보조지표들은 주가와 차트가 만들어지고 나서 결정이 되는 후행성 지표기 때문에 미래의 주가를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는 것이죠.
거래량/거래대금
거래량과 거래대금은 해당 차트가 얼마나 정직한지를 알려주는 척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
거래량보다는 거래대금이 좀 더 평준화시키기 좋으며 거래대금의 경우 해당 차트에서 캔들을 만들 때 들어간 금액이기 때문에 차트만 참고하는 것보다는 높은 거래대금이 실린 캔들이 더 신뢰할 수 있는 차트라고 보시면 됩니다.
또 지지와 저항은 보통 거래대금이 많이 들어간 중요한 가격대에 자주 생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주식 차트 거래량과 거래대금 설정 방법, 거래대금이 중요한 이유
주식에서 차트는 속일 수 있어도 거래량은 못 속인다는 말이 있죠. 이번 주제는 거래량과 거래대금에 대한 것입니다. HTS를 사용하면 보통 차트 아래에 거래량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는데 "거래대
cowcow.tistory.com
'주식 > 주식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 증권거래세 일정 정리, 2023년부터 단계적 인하 예정 (0) | 2023.01.19 |
---|---|
키움증권 영웅문 매수 매도 체결 내역 통보 창 정리 (0) | 2023.01.18 |
주식 차트 거래량과 거래대금 설정 방법, 거래대금이 중요한 이유 (0) | 2023.01.03 |
주식 모니터 하나로 여러 주식 창 보는 세팅 방법 (0) | 2022.12.29 |
주식 기초 캔들 봉 종류 보는 법 - 양봉 음봉 도지 (0) | 2022.12.28 |
댓글